본문 바로가기

music garden12

음악 초보자의 3가지 질문 무슨 일이든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에겐 모든 게 궁금한 질문입니다. 그 질문들이 하나하나 줄어들면서 실력이 늘어 가는 거겠죠. 누구나 초보 시절이 있고, 그 시기를 잘 넘기기 위해선 질문이 오히려 가장 큰 무기가 됩니다.보컬을 시작하시는 분들의 그 많은 질문들 가운데 가장 많이 듣는 질문이고, 꼭 먼저 이야기를 해 주고싶은 질문 3가지에 대해서 정리해 봤습니다.질문 1. “노래 잘하려면 발성부터 해야 하나요?”여러분도 궁금하시죠? 이거 진짜 많이 물어보시는데요.주위에 사람들을 보면 배우지 않고도 노래를 곧 잘하시는 분들이 계시죠?그러니까 타고난 재능에 따라, 성격과 경험에 따라 분명히 차이가 있습니다.하지만 노래 실력이 발전하는 속도와 그 완성도를 보자면 반드시 발성을 배우면서 시작한 사람들이 월등하다.. 2025. 5. 1.
통기타 기초 가장 빨리 느는 방법: 두 번째! 통기타를 처음 접할 때 가장 힘들어하는 부분 중 하나가 리듬입니다. 리듬은 그 자체로 음악의 가장 중요한 기둥입니다. 그런데 기타에서는 이 리듬을 만드는 데 중요한 요소가 바로 *다운 스트로크 (Down Stroke)*와 업 스트로크 (Up Stroke), 그리고 오른팔 스윙의 크기입니다. 오늘은 이 두 가지를 통해 리듬의 정확성을 높이면서 자신감을 찾아가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그림과 예시를 들어가며 좀 더 쉽게 설명드릴 테니, 잘 따라와 주세요!1. 다운 스트로크와 업 스트로크: 리듬의 첫걸음기타를 연주할 때 리듬을 표현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기본 동작 중 하나가 바로 스트로크입니다. 스트로크는 오른팔의 진자운동으로 팔과 손목을 이용해 기타의 현을 쳐주는 동작인데, 다운 스트로크와 업 스트로크로 .. 2025. 4. 29.
조표(#, b)는 왜 붙어요? – 악보 속 샵과 플랫의 비밀 음악을 처음 배울 때 악보를 보면 꼭 나오는 녀석들이 있죠. 바로 조표, 그러니까 샵(#)과 플랫(b)이에요. 줄 맨 앞에 뭔가 이상한 기호가 붙어있는데, 이게 왜 붙는 건지 궁금했던 분들 많으실 거예요. 오늘은 음악의 입문자분들을 위해, 조표가 왜 존재하는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비유와 함께 재미있게 풀어보겠습니다.조표는 음악의 ‘지도’에요먼저, 조표를 이해하기 위해선 ‘조성(Key)’이라는 개념을 알아야 해요.음악은 무작정 음을 나열한 게 아니라, ‘어느 음을 중심으로 음악이 진행될지’를 정해요. 이 중심이 되는 음을 ‘으뜸음(tonic)’, 이 음을 중심으로 한 음계 구조를 조성이라고 부릅니다. 예를 들어, C장조(C Major), G장조(G Major) 같은 것들이죠.그럼.. 2025. 3. 23.
음이름과 계이름은 뭐가 다를까? 음악 초보자를 위한 설명과 실전 연습법! 음악을 배우기 시작하면 꼭 한 번쯤 이렇게 헷갈릴 때가 있어요.“도레미는 알겠는데… CDE는 뭐지?”“선생님, 도가 C예요? 아니면 A예요?”“왜 똑같이 피아노에서 도를 치는데 사람마다 부르는 게 다르죠?”그렇습니다. 바로 이것이 음악 입문 자라면 피할 수 없는 첫 번째 혼란,‘음이름과 계이름’의 차이입니다!이 글에서는 이 두 개념을 헷갈리지 않게 재미있는 비유와 실제 예시로 알려드릴게요.음악 초보자는 물론, 악기를 배우는 모든 분들에게 꼭 필요한 이야기니까 끝까지 함께 해주세요 음이름과 계이름 차이 핵심부터 짚고 가자!음이름(Pitch Name): 악보 상에서 ‘그 음 자체’를 부르는 이름입니다. 영어 알파벳(C, D, E, F, G, A, B) 또는 한글로 ‘다, 라, 마, 바, 사, 가, 나’라고도.. 2025. 3. 22.
음악 관련 직업 완벽 정리 - 자격증과 진로 가이드 음악을 통하여 직업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예전에는 흔하지 않았죠. 하지만 요즘은 아주 다양하고 방대한 음악계통의 진로가 많이 있습니다 가수나 연주자, 작곡가뿐 아니라 음악 산업에는 다양한 직업군이 존재하며, 각자 고유한 역할과 매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음악 관련 직업 중 공연, 기술, 교육, 기타 분야를 더 세분화하여 소개하고, 각 직업의 자격 요건과 자격증 취득 방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1. 음악 제작 및 기술 관련 직업레코딩 엔지니어레코딩 엔지니어는 스튜디오에서 녹음을 담당하는 기술 전문가입니다. 음악을 최상의 품질로 녹음하는 것이 핵심 업무이며, 디지털 오디오 소프트웨어(Pro Tools, Logic Pro 등)에 대한 전문성이 요구됩니다.자격 요건:음향 관련 학위(음향공학, 음악 기술.. 2025. 3. 17.
초보들이 모르는 리듬 훈련법! (바로 이것의 효과!) 음악을 연주하거나 노래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바로 리듬입니다. 대부분의 초보들과 일반인들은 리듬을 단순하게 박자로만 생각하기 때문에 몸으로 세분하여 느끼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한참 뒤에야 깨닫게 됩니다. 아니면 연습해보다가 잘 안되니까 "아, 나는 박치인가 보다!"라고 포기해 버리는 일이 많죠. 아무리 음정이 정확하고 좋은 사운드를 내더라도 리듬이 불안하면 연주나 노래 전체가 흐트러지게 됩니다. 특히 초보자들은 음악 속의 리듬감을 익히는 데 어색하고 불안함을 느낍니다. 하지만 걱정할 필요 없습니다! 그것을 해결해줄 특단의 연습법이 있으니까요! 주위에서 음악을 잘한다는 평을 듣는 전문가들은 모두 이 방법으로 기초 리듬을 훈련했습니다. 비록 연주뿐 아니라 노래를 하는 사람들, 모든 음악 하는.. 2025. 3.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