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9

초보자의 음악이론 : 음정(Interval)이 뭐예요? 음계를 배우고 나면, 다음으로 꼭 알아야 할 개념이 바로 ‘음정(Interval)’이에요.그런데 이 단어, 생소하고 좀 어렵게 느껴지지 않나요?“음정이 뭐죠? 고음, 저음 말하는 건가요?”“반음? 온음? 숫자로 세는 게 왜 필요하죠?”이런 질문을 많이 받아요.하지만 걱정 마세요!오늘은 음정을 비유와 함께 아주 쉽게,초보자도 귀에 쏙쏙, 머리에 착착 들어오게 설명해 드릴게요. 음정(Interval)이란?음정이란 말 그대로, 두 음 사이의 거리를 말해요.‘도’에서 ‘미’까지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숫자와 단위로 표현한 것이죠.마치 다음과 같아요:음악 속 음정은 ‘음과 음 사이의 거리’,마치 건물에서 1층에서 3층까지 올라가는 높이를 말하는 것과 같아요.음정은 높낮이의 차이를 말해주는 음악의 ‘자’ 같은 존재.. 2025. 3. 25.
초보자의 음악이론: 음계가 왜 중요해요? 음악을 처음 시작한 사람들이 자주 묻는 질문이 있어요."도, 레, 미 같은 음계를 꼭 외워야 해요?"혹은,"그냥 악보대로 치면 되지, 왜 굳이 음계를 배워야 하죠?"이런 질문은 마치 누군가가 외국어를 배우면서 "단어는 왜 외워야 하죠? 그냥 문장만 따라 하면 안 돼요?"라고 묻는 것과 비슷해요.오늘은 이 음계라는 개념이 왜 그렇게 중요하고, 왜 모든 음악 학습의 기초가 되는지 아주 쉽고 재미있게 설명해 볼게요.음계란 음악의 지도입니다음계를 가장 쉽게 설명하자면, 음악 속에서 길을 안내해 주는 지도라고 할 수 있어요.'도'부터 시작해서 '레, 미, 파, 솔, 라, 시'까지, 이 일곱 개의 음은 마치 여행지의 이정표와 같죠.예를 들어, 어떤 곡을 연주하거나 작곡하려고 할 때, 음계는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해요.. 2025. 3. 25.
장조와 단조는 무슨 차이예요?, 음악의 분위기를 바꾸는 두 세계 음악을 들을 때 우리는 종종 이런 표현을 씁니다.“이 곡, 왜 이렇게 밝지?”, “이 노래는 좀 슬프네.”그 감정의 차이는 어디서 오는 걸까요?바로 **‘장조’와 ‘단조’**라는 음악의 핵심 개념 때문입니다.음악에서 장조와 단조는 단순히 이론적인 구분이 아니라,곡 전체의 성격과 분위기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장조와 단조의 차이’를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비유와 예시를 통해 설명해 드릴게요.장조(Major key)란?장조는 영어로 Major라고 하며, 보통 밝고 경쾌한 느낌을 주는 조성입니다.예를 들어 우리가 잘 아는 동요나 결혼 행진곡, 팝송 중에서도 희망적인 느낌을 주는 곡들은 대부분 장조로 되어 있습니다.장조의 특징밝다긍정적이다안정적이다활기차다대표적인 장조 노래베토벤 – .. 2025. 3. 24.
조표(#, b)는 왜 붙어요? – 악보 속 샵과 플랫의 비밀 음악을 처음 배울 때 악보를 보면 꼭 나오는 녀석들이 있죠. 바로 조표, 그러니까 샵(#)과 플랫(b)이에요. 줄 맨 앞에 뭔가 이상한 기호가 붙어있는데, 이게 왜 붙는 건지 궁금했던 분들 많으실 거예요. 오늘은 음악의 입문자분들을 위해, 조표가 왜 존재하는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비유와 함께 재미있게 풀어보겠습니다.조표는 음악의 ‘지도’에요먼저, 조표를 이해하기 위해선 ‘조성(Key)’이라는 개념을 알아야 해요.음악은 무작정 음을 나열한 게 아니라, ‘어느 음을 중심으로 음악이 진행될지’를 정해요. 이 중심이 되는 음을 ‘으뜸음(tonic)’, 이 음을 중심으로 한 음계 구조를 조성이라고 부릅니다. 예를 들어, C장조(C Major), G장조(G Major) 같은 것들이죠.그럼.. 2025. 3. 23.
음이름과 계이름은 뭐가 다를까? 음악 초보자를 위한 설명과 실전 연습법! 음악을 배우기 시작하면 꼭 한 번쯤 이렇게 헷갈릴 때가 있어요.“도레미는 알겠는데… CDE는 뭐지?”“선생님, 도가 C예요? 아니면 A예요?”“왜 똑같이 피아노에서 도를 치는데 사람마다 부르는 게 다르죠?”그렇습니다. 바로 이것이 음악 입문 자라면 피할 수 없는 첫 번째 혼란,‘음이름과 계이름’의 차이입니다!이 글에서는 이 두 개념을 헷갈리지 않게 재미있는 비유와 실제 예시로 알려드릴게요.음악 초보자는 물론, 악기를 배우는 모든 분들에게 꼭 필요한 이야기니까 끝까지 함께 해주세요 음이름과 계이름 차이 핵심부터 짚고 가자!음이름(Pitch Name): 악보 상에서 ‘그 음 자체’를 부르는 이름입니다. 영어 알파벳(C, D, E, F, G, A, B) 또는 한글로 ‘다, 라, 마, 바, 사, 가, 나’라고도.. 2025. 3. 22.
노래할때 목이 아픈 이유와 해결법 - 성대 보호를 위한 발성법 노래를 부를 때 목이 아픈 이유는 성대 주위의 근육에 힘이 들어가서 목이 쉽게 피로해지기 때문입니다. 가장 큰 원인은 성대가 소리도 내고 음도 맞추는 모든 역할을 하려 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성대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역할만 할 뿐, 소리를 키우고 음색을 조절하는 것은 공명과 호흡의 역할입니다.특히, 올바른 공명(울림) 훈련 없이 성대만을 사용하면 소리가 거칠고 시끄러워지며, 성대 피로도가 급격히 높아집니다. 따라서 비강 공명을 활용한 두성(Head Voice) 훈련이 필수적입니다.오늘은 비강 공명(비음)과 두성 공명을 찾는 연습을 통해, 성대의 부담 없이 고음까지 편안하게 부르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목이 쉽게 아픈 이유: 성대를 과도하게 사용하기 때문1) 성대의 역할과 한계: 소리를 만드는 기.. 2025. 3. 20.